부스터샷? 코로나 백신 얀센 백신에 대해서
앤센 백신은 세계적인 제약회사 존슨앤드존슨 산하 벨기에 제약회사 얀센 파마슈티카에서 개발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입니다. 바이러스 벡터 방식을 채택한 백신으로 간 아데노바이러스 26형(Ad26)을 벡터로 사용했습니다. 사용된 바이러스는 복제가 불가능하도록 변형되었기 때문에 백신을 통해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선 2021년 4월 7일 허가되었습니다. 영하 25~15도에서 24개월 보관할 수 있으며 유일하게 이윤을 창출 하지 않고 원가로 공급되는 백신입니다.
2020년 3월 31일 얀센이 백신 후보물질 Ad26.COV2-S에 대한 임상실험을 시작해 2021년 초 백신 공급이 가능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2020년 9월 23일 초기 임상실험결과 강력한 면역반응이 생성된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2021년 4월 7일 우리나라에서 얀센백신을 승인한 이후 미합중국이 공급한 100만 명분의 얀센백신을 30세 이상의 예비군/민방위 관계자 등에게 접종했습니다.
얀센의 부스터샷 논란은 그간 나온 데이터를 보았을 때 얀센 백신은 2회 접종을 해야 델타변이에 큰 효과를 보였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얀센 백신의 감염예방 효율의 하락에 대한 우려와 관련 연구결과로 인하여 얀센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을 계획을 밝혔습니다. 현재 얀센 백신은 애초 1회 접종이 아닌 2회 접종용으로 전환됐습니다.
2021년 3월 6일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리처드 태럴이 얀센백신 접종 후 전신에 심한 피부 발진 및 홍반, 붓기, 가려움증, 심한 통증 등의 중증 증세를 보였습니다. 각종 증상으로 인해 VCU 메디컬 센터를 찾은 결과 그의 증상의 원인이 얀센백신이라는 결론이 났습니다.
미국의 경우 현재 얀센백신 접종을 중단했습니다. 유렵의 경우 드물게 혈전발생과 부작용이 있으나 접종 시 이득이 손해보다 매우 우세하므로 접종 허가를 권고했습니다.
'매일 5분 보는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성경강해 1화 (1) | 2022.02.17 |
---|---|
코로나 백신 다양한 후유증 믿어도 될까? 화이자 백신에 대해서 (0) | 2021.11.03 |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도전 인공위성 누리호 (0) | 2021.10.22 |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 4차 산업혁명 (0) | 2021.10.12 |
3차 산업혁명의 꽃 인공위성의 개발역사 (0) | 2021.10.11 |
댓글